![]() 삼경차 찻잎을 찾아 가는 길. 산 길을 따라 한참 올라가면 삼경차의 주재료인 야생 뽕잎을 딸 수 있다. ![]() 28년 동안 차를 만들어 오신 오금자, 김용재님 부부(왼쪽부터). 오래전부터 직접 손으로 만든 삼경차로, '차맛을 아는 사람'들에게 어느덧 꽤 유명인사가 되어 있다. ![]() 찻잎따기. 오금자님 부부가 산속 야생 차나무에서 찻잎을 따고 있다. 왼쪽은 아침지기 최동훈팀장으로, 몇 차례에 걸쳐 현지를 답사해 삼경차를 만드는 과정에 함께 참여했다. ![]() 삼경차의 주재료인 조선토종 뽕잎. 조선토종 뽕잎은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잎이 마치 손가락처럼 갈라져 있다. ![]() 뽕잎, 감잎, 은행잎(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옛 선조들은 뽕나무를 하늘이 준 신목으로 여겼으며, 피를 맑게 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경차의 또 다른 재료인 은행잎과 감잎은 성인병 및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도 좋다고 한다. ![]() 찻잎 썰기. 손으로 따낸 야생 뽕잎을 도마와 칼을 이용하여 썰고 있는 오금자, 오윤희 자매(오른쪽부터). 오손도손 자매가 마주앉아 삼경차를 함께 만들고 있다. ![]() 손맛에 따라 음식 맛이 차이가 나듯, 기계로 썰 경우 손으로 썰었을 때의 맛을 따라오지 못한다고 한다. ![]() 비슷한 크기로 잘게 썰어진 찻잎. 오랜 손놀림의 솜씨가 느껴진다. ![]() 손덖음. 잎 따기-씻기-썰기- 발효의 과정을 거쳐 손으로 찻잎을 덖어낸다. 차를 덖을 때에도 일일이 손으로 휘저어 주어야 한다. ![]() 솥에서 막 덖어낸 뽕잎. 뽕잎, 은행잎, 감잎은 저마다 다른 온도에서 덖어내게 된다. ![]() 몇 차례 덖어내어 잘 말려진 야생 뽕잎. 초록빛이 신비롭다. ![]() 완성된 삼경차의 모습. 가을 낙엽을 닮은 오묘한 자연의 색이 싱그럽고도 아름답다. ![]() 완성되어 포장된 삼경차. 모두 올해 7~8월에 채취하여 제조된 것으로, 일일이 손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량이 그다지 많지는 않다. ![]() 삼경차의 명인, 오금자님. 자신이 정성들여 만든 차를 아침편지 가족들과 함께 마실 것을 생각하니 마냥 행복하다고 했다. ![]() 삼경차가 만들어지는 집. 삼경차에 깃든 정갈함과 구수함이 이런 집 분위기에서도 배어난 듯하다. ![]() 집 마당의 '옹달샘'. 좋은 차를 만드는데는 맑은 물도 한 몫을 한다. ![]() 찻잎을 써는 데 사용되는 도마들. 군데군데 상처나고 색바랜 이 오래된 도마에서조차 차의 향기가 묻어나는 듯하다. ![]() 차를 덖어내는 가마솥. 오랜 기간 차를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어 내부가 반짝반짝 빛난다. 오금자님이 머무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비슷한 모양의 가마솥이 걸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각종 찻그릇. 오랜 동안 차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느껴진다. ![]() 서재. 김용재님(오금자님 남편)은 고등학교 국어선생님으로 아침편지와 인연이 깊다. 민간 의학에도 관심이 많아 관련 서적을 많이 보유하고 계시다. ![]() 삼경차를 찾아 답사에 나선 아침지기 황석헌, 이진아님과 오금자, 김용재님 부부(왼쪽부터). 촬영은 최동훈팀장이 했다. ![]() 막 우려낸 삼경차. 팔팔 끓는 물에 3~5분 정도 우려내어 마신다. 색과 향이 좋을 뿐 아니라 맛이 부드럽고 깊어 깨끗한 여운이 오래 간다. 차게 해 두었다가 평소때 생수 대신 마셔도 좋다. |
![]() |
|
아래 <꽃피는 아침마을>을 누르시고 '삼경차'를 검색하시면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