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아침편지 가족들과 함께 나누고픈 기쁨, 슬픔, 사랑의 추억이 담긴
사진 또는 그림들을 이 공간에 올려주세요

" 새미 이야기 "

리처드 2009-07-27 19:08:33 | 조회 : 10824


  • 사랑스럽고 귀여운 아이



  • 살면서 사랑하면서 - " 새미 이야기 " 다음에 소개하는 사진은 인간극장에 나왔던 사연인데 우연한 기회에 다시 눈에 띄어 너무 가슴이 찡해 옵니다. 일곱번의 유산 끝에 엄마 나이 스른다섯에 얻은 귀하디 귀한 아이였다 세상에 부러울 것 없는 행복한 나날이 이어졌다 그런데 3 년 전, 하늘이 무너질 것 같은 고통이 찾아 왔다. 아빠가 암으로 세상을 떠나셨다 아빠를 보내고 세상엔 엄마와 새미만이 남았다 그리고... 하늘은 폐암이란 병으로 엄마마저 새미에게서 빼앗아 가려하고 있다. 엄마는 폐암의 끝자락에 서 있다. 새미의 목소리를 들으며 엄마는 끔찍한 통증을 견뎌내고 있다 매일 매일 ... 아픈 엄마는 어린 딸 앞에서 의연함을 잃지 않으려 고통을 속으로 삼켜 내고, 딸은 아픈 엄마를 편하게 해주려 애쓴다. 엄마는 3개월 선고를 받았었다. 하지만 엄마는 수 없이 찾아 온 고비들을 넘기면서 새미곁을 지켰다. 그렇게도 끔찍히 새미를 아꼈던 엄마 3개월 선고를 받았던 엄마가 4년간 새미곁을 지킬 수 있었던 것도 그 사랑의 힘이다. 숨이 가빠 한 두 마디 하기도 힘들어 하던 엄마가 갑자기 말을 길게 한다. 호흡도 편안해졌다. 요 근래 오늘처럼 엄마 상태가 좋았던 적이 없었다. 새미가 중3 때 3개월 선고를 받은 엄마는 입버릇처럼 말했었다. 새미 대학갈 때까지는 살꺼라고... (새미는 대학에 합격했다. 엄마는 약속을 지켜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사랑스런 딸에게 엄마는 예쁜 세상, 좋은 것들만 보여주고 싶었다. 하지만 어린나이에 아픔부터 알게 해주고 병원과 요양원을 오간 기억밖에 없는 학창시절을 보내게 해서 엄마는 늘 가슴 아팠다. 다음날 이른 아침 ... ( 엄마를 임종방으로 옮긴다는 이야기. ) Mother - Isa Grant If only I could see again The twinkle in my mother's eyes To hear again her gentle voice And have her hold me when I cried. 내가 다시 볼 수만 있다면 내 어머니의 두 눈의 반짝임을 그 부드러운 목소리를 다시들을수 있다면 그래서 내가 울 때 날 안아 주실수 있다면 If only she could be here now To help me free my troubled mind I wonder if my mother knows Although I've tried, no peace I find. 지금 여기 어머니가 계신다면 내 힘든 마음을 풀어 줄 수 있다면 어머니는 알고 계실까?   내가 노력 했지만 아무런 평화도 아직 찾지 못한 것을. It seems a hundred years ago That when I cried she'd wiped my tears And just like magic when I'd fallen She'd be right there to calm my fears. 백 년 전쯤 된 것 같아요. 내가 울 때 엄마가 내 눈물을 닦아 주셨던 때가 내가 넘어졌을 때 마술처럼 엄마는 내곁에서 내 두려움을 진정시켜주셨지요 Oh mom if you could only see The hurt and pain I'm going through I must have cried ten million tears Since the tears I cried when I lost you. 오 어머니, 내가 헤쳐나가는 고통과 아픔을 어머니가 알아 주시기나 하셨으면... 저는 수없이 많은 눈물을 흘려야 했어요. 제가 어머니를 잃었을때 흘린눈물 그 이후에도 I know you're never far away I almost feel you close to me Oh, how I'd love to hold your hand Your loving smile I'd love to see. 어머니는 결코 멀리 계시지 않다는 것 알아요. 저는 거의 제 곁 가까이 어머니를 느껴요. 오, 내가 얼마나 엄마 손 잡아보고 싶은지 사랑 가득한 당신의 미소를 보고 싶은지.. But in my heart you're still alive I think about you everyday. Oh, mother dear, why did you die And leave me here so far away. 하지만 제마음 속에서 당신은 여전히 살아계셔요. 저는 매일 당신을 생각하지요. 오 사랑하는 어머니, 왜 당신은 돌아가시고 여기 이렇게 멀리 저를 남겨 두셨나요?   ~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 만남과 해어짐 삶과 죽음은 드라마나 소설가운데 이야기만은 아니다. 이제는 우리들의 일상이 되어버렸고, 또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아름다운 세상에 삶을 위하여, 그 축복을 나누어 갖기위하여 우리는 나보다 먼저 주변을 돌아보고, 사랑과 배려를 아끼지 않아야겠다. 진실로 행복한 사람은 이웃의 불행과 아픔을 함께하는 사람이 아닐까? 내가 비록 가진것이 없다 할지라도 삶을 나눌수 있을 그 때에 세상에 부족함이 없는, 잘 사는 사람이요, 참 부자인 것이다. 리 처 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nghks70&logNo=80169341327 1317   " 새미 이야기 " (7)  리처드  2009.07.24  138 신상옥 어디에서 봤더라? 보름쯤전에 눈물을 펑펑 쏟으면서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사진마다 엄마랑 대화하는 내용이 화면에 큰글씨로 띄워 TV에 방영 했었더군요. 지금쯤은 힘을 내서 씩씩하게 살고 있을거예요? 리처드님! 정성에 늘 감사드립니다. 여름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밤 1시 입니다. ^^ 2009.07.25 (00:56:28)   이서종 화면을 보면서 저절로 눈시울이 뜨거워짐을 느낍니다. 목울대도 뭉클해지고 눈물은 하염없이 쏟아지고 새미는 참 아름다운 아가씨군요. 이땅에 새미를 남겨두고 먼저 저 하늘나라로 이사가신 새미어머님도 이제는 안심을 할 것입니다. 배경음악 Isa Grant의 Mother가 잔잔한 감동을 우리에게 줍니다. 귀한 영상 나누겠습니다. ^L^ 2009.07.25 (13:34:38)   리처드 이것은 죽음의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이야기입니다. 생전에 새미 어머님이 한 말이 있습니다. 너를 갖기 전에도 너를 원했단다 네가 태어나기 전에도 너를 사랑했어 네가 태어나기 한 시간 전에도 너를 위해 죽을 수 있었단다 이건 분명 생명의 기적이야 2009.07.27 (13:59:04)   리처드 신상옥님, 이서종님, 이 글이 처음 올라온 때는 2008.08.09 관련 덧글은 2008/10/12 에 짧게 올라와 있군요

    5월 19일 방송된 <엄마, 난 괜찮아>의 이새미(19)양의 사연이 시청자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새미 양의 아버지는 4년 전 간암으로 돌아가셨다. 엄마와 둘이서 지내는 새미 양에게 엄마는 곧 가장이자 언니, 또 절친한 친구이기도 하다. 그런 엄마가 폐암선고를 받게 되고 새미 양의 극진한 간병에도 불구하고 결국 엄마는 세상을 떠난다. 참았던 눈물을 쏟으며 오열하는 새미 양. 새내기 대학생인 그에게 현실은 가혹하기만 하다. 마음을 추스르기도 전에 신문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며 용돈을 벌고,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기위해 동분서주한다. 부모님을 모두 잃고 홀로서기를 하는 새미 양의 안타까운 사연을 향한 시청자들의 감동은 이제 후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방송 이후 네티즌들은 ‘인간극장 <엄마, 난 괜찮아> 새미 양을 도웁시다’ 라는 주제로 모금청원을 시작했고, 계속해서 네티즌들의 온정의 손길이 모아지고 있다. 당초 청원 마감 일은 28일이었지만 모금이 시작된 지 하루 만에 목표액 700만원을 달성하면서 모금액 전액은 새미 양의 대학 등록금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출처:[인간극장]새미 이야기 - 엄마, 난 괜찮아.. 2009.07.27 (14:26:37)   방송 일시 : 2008년 5월 19일(월) ~ 5월 23일(금) 채 널 : KBS 2TV 오후 8:20 ~ 8:55 2009.07.27 (14:58:50)      새미어머님과 함께 요양원에 계셨던 분의 글입니다. 저는 잘 울지않는 편입니다. 특히나 사람들 앞에선 더욱 그런 편이죠. 그렇다고 그러한 행동이 남자는 무조건 강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나온 건 절대 아닙니다. 단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선 아무리 슬픈 영화를 봐도 눈물이 나오지 않더군요. 그런 제가 가장 많이 울었던 적은 항암을 할 때였던 거 같아요. 그땐 혼자서 무척이나 많이 울었습니다. 얼마나 울었었냐면 어떤 날엔 베겟닛이 너무 젖어서 머리를 대고 있을 수 없을 정도로 운 적도 있었어요.(믿기 힘들죠?) 지금 생각하면 그때 그렇게 울었던 이유는 항암으로 심신이 무척 고단하기도 했었지만 그보다는 정신적인 피폐함으로 인한 고통이 더 큰 이유였다고 생각됩니다. 항암이 너무 힘들어서 '이러다 내가 죽는 구나'란 생각을 하니까 무척이나 서러워지면서 눈물이 끊이지 않았던 거죠. 아마도 그때 그렇게 울었었기에 그 후로 눈물이 마른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눈물이 없어졌던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가끔 TV에서 방영되는 암 환자들의 투병 이야기나 그 외에 아픈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장소나 사람이 있고 없고에 상관없이 눈물이 흐르곤 합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제가 그 주인공의 아픔을 똑같이 겪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어제는 그런 제가 오랜만에 사람들이 여럿 있는 곳에서 울었던 날입니다. TV 프로를 보면서 말이죠. 인간극장 '엄마 난 괜찮아'의 주인공인 김윤기 집사님은 얼마 전까지도 저와 같이 이곳에서 투병생활을 하셨던 분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분의 외동딸인 새미는 학교가 며칠씩 쉴 때면 이곳에 와서 어머니를 간병하곤 했던 효녀였고요. (김윤기 집사님은 저랑 같은 교회를 다니셨었기에 저는 그분의 호칭을 집사님으로 부르곤 했었지요) 어제 방송 보셨나요? 방송 그대로 입니다. 김윤기 집사님은 초인적인 힘으로 삶의 끈을 이어오셨습니다. 그 엄청난 고통도 오직 딸 새미가 대학 입학하는 것만은 보고 싶다는 일념으로 참아오셨던 거죠. 그리고 그 분의 딸 새미는 정말 요즘 아이같지 않게 착하고 순수한 아이입니다. 작년까지 새미는 고등학생이었기 때문에 어머니를 자주 보러 올 수 없는 상황였습니다. 그럼에도 학교 시험이 끝나거나 연휴때만 되면 이 먼 길도 마다않고 달려오곤 했지요. 그러면 김윤기 집사님은 집에서 혼자 생활하는 새미를 위해서 새미가 좋아하는 고기(새미는 고기를 무척 좋아한 답니다)를 사먹이시고 싶어서 제게 운전을 부탁하시곤 했었죠. 그러면 근처로 두 모녀를 태우고 가서 같이 식사를 하곤 했었고요. 새미는 고3시절에 반에서 반장을 했었습니다. 가 그것이 너무 대견스러워서 혼자 생활하면서도 반장이 된 비결을 물었습니다. 새미랑 집사님은 한참 웃으시더니 새미가 반장 후보로 나서서 반 아이들에게 이렇게 호소를 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 어머님이 암 투병중이신데 제가 반장이 되었다고 하면 큰 힘을 얻으실 거예요. 그러니 저를 뽑아주세요.' 김윤기 집사님은 매일 새벽에 혼자 사는 새미를 위해서 전화를 하셨습니다. 학교에 지각하는 걸 막기 위해서였죠. 새미에겐 대학을 빨리 가야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일단 입시를 빨리 끝내놓고 운전 면허를 따서 어머니를 서울에 있는 병원(서울대병원)까지 직접 모시고 가고 싶어했습니다. 마침 김윤기 집사님께는 작은 장애가 있으셔서 LPG 차량 구입이 가능했었거든요. 그래서 일단 면허만 따면 중고차라도 사서 어머니를 편히 모시고 싶어했었던 겁니다. 김윤기 집사님이 이곳 요양병원에 처음 오셨던 건 2006년 늦은 봄이었다고 기억됩니다. 이미 이곳에서 기적적으로 완쾌를 하신 고향 분의 소개로 오셨던 거죠. 당시만 해도 몸이 너무 안 좋으신 상태였는데 이곳에 오시면서 당신 스스로 몸이 좋아지신 걸 느끼셨나 봅니다. 나중에 표현하시길 당신은 이곳 공기만 마시고 이곳의 물만 마셔도 병이 다 나은 거 같다고...어느 정도셨냐면 외래 때문에 서울에 있는 병원에 가실 일이 있으면 병원 일을 보시곤 딸이 생활하는 집도 안 들리시고 바로 이곳으로 오셨습니다. 도시에선 공기가 답답해서 잠시도 못 있겠다시며... 서울에선 아무리 비싼 식당에서 고급 음식을 먹어도 안 넘어가는데 이곳만 오면 밥에 물만 말아드셔도 잘 넘어가고 맛있다고 하셨었죠. 그런데 작년 겨울부터 부쩍 몸 상태가 나빠지셨습니다. 어느 날 집에 다녀오는데 병원 입구에서 다른 분의 차를 타고 나가시는 집사님을 만났습니다. 어디 가시냐고 여쭸더니 갑자기 몸이 안 좋아져서 춘천의 대학병원으로 가시는 중이라고 하시더군요. 그 후 며칠간 집사님의 안부가 궁금해서 집사님 핸드폰으로 자주 전화를 드렸습니다. 왜냐면 분명 아무 연고도 없는 도시이기에 혼자서 병원에 계실 걸 생각하니 걱정이 많이 되었었거든요. 마침 퇴원하시기로 한 아침에도 통화를 하게 되었습니다. 집사님은 혼자서 택시를 타고 들어오신다더군요. 저는 춘천에 나갈 일이 있다고 하고서 제가 모시고 오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대학병원으로 갔죠. 마침 병원에서 퇴원수속을 하고 계셨습니다. 그래서 수속을 도와드리고 모시고 들어왔습니다. 집사님은 너무 고마워하시며 점심이라도 사주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요양병원 거의 다 들어와서 근처의 막국수 집에 가서 간단히 국수와 만두국을 시켜 먹었습니다. 아마 그날이 김윤기 집사님과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눈 날이 아닌가 싶네요. 새미 아버님의 투병과 사망, 연이은 당신 자신의 암 발병과 투병, 그리고 새미를 키웠던 얘기들을 들려주셨습니다. 김윤기 집사님이 그러시더군요. 당신은 새미가 대학에 들어가서 좋은 남자만 생긴다면 바로 결혼 시키고 싶다고... 아마 당신의 삶이 얼마 안 남았다는 걸 어렴풋이 아셨던 게 아닐까 싶네요. (지난 금요일 통화에서 새미에게 그 얘길 해줬더니 엄마가 정말 그랬었냐며 재밌어 하더라구요) 그날 이후로 집사님의 병세는 날로 악화되었고 나중엔 방에서 꼼짝도 못 하셨습니다. 식사도 방으로 직접 갖다드려야 했고 그 얼마되지 않는 식사마저도 온몸에 땀을 뻘뻘 흘리시며 드시곤 했지요. 그리고 올 초에 호스피스 병원으로 거처를 옮기신 겁니다. 그 후 얼마 뒤에 제게 전화를 하셨더군요.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머잖아서 다시 이곳으로 올테니 그때 보자고...그러다가 2~3 주 전에 사망소식을 들었고 지난 주 금요일날 우연히 TV를 보다가 이번 주 인각극장 주인공이 김윤기 집사님과 새미라는 것을 알게 된 거죠. 처음 예고편을 봤을 땐 그분이 김윤기 집사님인 걸 모를 정도였습니다. 잠시 후 옆에서 간호하는 새미의 모습을 보고 김윤기 집사님의 얘기인 걸 알았죠. 집사님은 그만큼 전보다 많이 마르셨던 겁니다. 그 예고편을 보고 바로 새미에게 전화를 했습니다. 새미는 올해 서울의 여대 사회복지학과에 들어갔다고 들었습니다. 다행히 학교 기숙사를 배정받았다는 소식과 함께. 전화를 받은 새미는 무척 쑥스러워하더군요. 그 예고편을 봤냐면서. 그러잖아도 지금 몇 통의 전화를 받았다고... 일단 지금 마음이 어떠냐고 물었어요. 아직도 많이 울고 있냐고. 그러자 새미는 '저 원래 잘 안 울잖아요. 이제는 괜찮아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지금 뭐하고 있었냐고 물으니 요즈음 학교 축제 기간이라 친구들 대부분은 학교 축제나 미팅을 나가서 기숙사에 혼자 덩그러니 남아있다고 했습니다. 월요일부터 하는 인간극장을 볼 거냐고 했더니 창피해서 못 볼 거 같다더군요. 그러면서 자기가 어떻게 나오냐고 물어보았습니다. 화면발 잘 나왔으니 창피해말고 보라고 했습니다. 새미는 지금도 이곳 요양병원에 엄마가 계신 거 같다고, 그래서 지금이라도 달려가면 만날 수 있을 거 같다고 그랬습니다. 이곳을 좋아하셨고 이곳에서 병세도 좋아지셨었고 오래 생활하셨던 이유였겠지요. 새미가 인간극장에 나오게 된 건 모 보험회사 체험수기에 낸 게 당선되어서 그 수기가 어딘가에 실렸었는데 그걸 본 PD가 연락을 해온 거라고 합니다. 어제 첫 회 방송에서 김윤기 집사님께 지금 가장 하고 싶은 걸 여쭸더니 새미랑 인간극장을 끝까지 찍는 거라고 하시더군요. PD가 왜냐고 여쭙자 새미를 위해서라고 하셨습니다. 아마 제 짧은 생각으론 당신이 가시고 혼자 남아있을 새미가 걱정되서 인간극장을 통해서 사람들의 따뜻한 손길을 받게 하시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마지막 그 고통의 순간에서도 오직 딸만을 생각하신 거죠. 그러나 이미 예고편에서도 나왔듯이 김윤기 집사님은 끝내 인각극장을 완성하지 못하고 떠나셨습니다. 어제 조선일보 인터넷판을 보니 촬영 이틀 후에 운명하셨다고 하더군요. 어제 첫 회 방송은 한 병실에 모여서 많은 사람들과 같이 봤습니다. 그런데 김윤기 집사님이 새미에게 기도를 해달라고 하시는 순간부터 눈물이 나오기 시작하더니 끝날 때까지 멈추지가 않았습니다. 아마 오늘 2회 방영 분에서 운명하시는 모습이 방영될 텐데 그걸 어떻게 보나 걱정입니다. 끝으로 새미의 근황을 알려드리자면, 새미는 아침마다 '? 역'에서 '메트로'란 생활 정보지를 나눠주는 알바를 한다고 하네요. 이번 방송을 통해서 정말 새미에게 많은 온정의 손길이 이어져서 돌아가신 김윤기 집사님이 하늘 나라에서도 더이상 딸을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저는 이번 여름방학쯤 해서 이곳 환우들과 새미를 이곳으로 초대할까 합니다. (물론 새미는 오기 힘들겠지만요) 만약 새미가 오기 힘들다면 제가 학교 기숙사 근처라도 가서 만나고 싶습니다. 그래야 제 마음도 조금은 편해질 거 같아서요. 만약 어제부터 시작한 이번 주 인간극장 첫 회를 못 보셨다면 다시보기를 통해서라도 꼭 보세요. P.S. 혹시 이 글이 누가 된다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2009.07.27 (16:06:14)   윗글 08.05.28 에 작성된 일년도 넘은 오래 전 이야기죠 처음엔 사진속의 유일한 날자 '85 3월 엄마품에 안겨있는 어린 새미의 나이와 새미 어머님이 타계하신 해를 새미 나이 19 라는 숫자로 아무리 추리해 보아도 답이 안나와 인터넷 검색을 하였답니다.

    독자가 쓰는 아침편지 댓글입력

    이름 : 비밀번호 :

    • 이진영 안녕하세요? 리차드님.

      지금 한국방송을 보니까 마침 인간극장이 나오네요. 어느 LA로 유학오신 분 이야기네요. 새미 이야기도 이곳에서 본 기억이납니다.

      항상 좋은 자료를 잘 정리해서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2009-07-28 13:04:07 67.49.8.165
    • 리처드 이진영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지난 해 한국은 잘 다녀가셨는지요?
      자주 뵙지못해 송구하였습니다.
      저는 이 [세미 이야기]를 실황방송으로
      보지 못했습니다. 인터넷에서 우연히 접하고
      얼마나 가슴이 먹먹했던지...
      TV 프로를 잘 챙기지 못하고
      그때 그때 아이들이 보는시간에 가끔 봅니다.
      토일 사극 드라마와 솔약국의 아들이야기가
      제밋읍디다. 내내 건강하시길 빕니다.
      2009-07-29 12:45:18 211.59.185.43
    • 항백 너무 가슴 찡한 이야기..볼수 있어서 고맙고요
      내가 비록 가진것이 없다 할지라도 삶을 나눌수 있을 그 때에
      내가 진정 부자임을 알게 됩니다
      고맙지요..
      2009-08-11 22:49:44 218.232.252.121
    • 이서종 여기서 다시 <새미이야기>를 읽어보았습니다. 그 뒤에 첨부된 같이 요양원에 계셨던 분의 증언도 새롭게 보았습니다. 저번에 편집할 때는 없었던 부분 같습니다.
      다시 나누겠습니다. ^L^
      2009-08-14 17:22:16 211.229.19.74
    • 김이수 고맙습니다~
      2009-12-15 09:49:55 116.36.17.226
     능소화 연가 (4) 유승희
    2025.07.12
     오월의 꽃 당신 (2) 꽃비/김 연 숙
    2025.05.22
     두째 시집 출간 그리워하며 살라 하네 꽃비/김 연 숙
    2025.05.18
     춘삼월 봄이 왔네요 꽃비/김 연 숙
    2025.03.03
     그리워하며 살라하네 (2) 꽃비/김 연 숙
    2025.02.19
     어쩌다 만난 인연 (2) 꽃비/김 연 숙
    2025.02.04
     우리 삶에 사랑 없으면 (2) 꽃비/김 연 숙
    2025.01.19
     가을이 남기고 간 흔적 (2) 시인/김 연 숙
    2024.12.11
     배롱나무 꽃 (3) 유승희
    2024.08.15
     오늘이란 하루를 맞이한다는 것은 (8) 유승희
    2024.06.26

    글쓰기

    게시글 검색